요즘 주로 사용되는 판매방식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이 있죠. Z세대가 사고파는 세대라 불리는 이유, 오늘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Z세대는 199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으로, 디지털 환경에서 자라나 정보와 기술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과거에는 소비자 역할에 그쳤던 이들이 이제는 자발적으로 생산자로 변모하고 있으며, 그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방식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술 발전, 경제적 자립을 위한 창업 정신, 그리고 소비와 생산의 경계가 허물어진 현상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Z세대가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변화하게 된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 ‘콘텐츠 생산’의 문을 열다
Z세대는 어릴 때부터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에 노출된 세대입니다.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스트리밍 플랫폼 등은 그들에게 자연스러운 도구가 되었고, 이 도구들을 통해 Z세대는 소비자가 아닌 창작자로서도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특히, 콘텐츠 제작과 공유는 Z세대의 주요 활동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콘텐츠 생산의 확산
Z세대는 이제 단순히 TV나 영화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의 소비자가 아니라, YouTube, TikTok, Instagram, Twitter, Twitch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자신만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주체가 되었습니다. 2023년 기준, TikTok은 18~34세의 사용자가 전체 사용자층의 약 60%를 차지하며, 이 연령대의 사용자가 콘텐츠 생산자로 활동하는 비율이 급증했습니다. Z세대는 하루에도 수많은 동영상, 사진, 글을 업로드하며, 일부는 이를 통해 광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확산은 특히 Z세대의 대표적인 경제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유명 유튜버인 MrBeast(짐 벤디), Emma Chamberlain은 Z세대 인플루언서로, 그들의 콘텐츠는 수백만 명의 팬을 얻으며 광고, 협업, 직접 상품 출시 등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Z세대의 콘텐츠 생산자는 이제 사회적 영향력을 갖춘 인물로 변모했으며, 그 영향력은 단순히 경제적 수익을 넘어서 문화적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디지털 도구들의 발전은 이러한 콘텐츠 생산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전문적인 장비나 고급 기술이 필요했지만, 오늘날 Z세대는 스마트폰만으로도 고품질의 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바로 전 세계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성 덕분에 콘텐츠 생산은 전문적인 작업이 아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활동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경제적 자립을 위한 창업 정신: Z세대의 자기주도적 경향
Z세대는 경제적 자립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들은 부모 세대처럼 안정적인 직장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비즈니스를 시작하거나 자유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특히 인터넷을 활용한 창업은 Z세대가 자립적인 경제적 활동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창업과 프리랜서 문화
Z세대는 온라인 쇼핑몰, 프리랜서 작업, 소셜 미디어를 통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창업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2022년 미국 중소기업청(SBA)의 조사에 따르면, 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비율이 두 배 이상 높았으며, 특히 소셜 미디어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창업에 적극적입니다. Etsy, Shopify, Amazon 같은 플랫폼은 Z세대가 직접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Z세대 창업자인 Catherine Lutz는 Instagram을 활용해 자신이 디자인한 액세서리를 판매하는 온라인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SNS를 통해 자신의 브랜드를 알리고, 팬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형태의 창업은 Z세대가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이루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협업
Z세대는 또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통해 광고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인플루언서들이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광고 및 제품 출시 등의 수익 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들은 단순히 광고 대행사가 아니라 브랜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제품 개발에 참여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직접 브랜드를 론칭하는 Z세대 인플루언서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 예로는 Rihanna의 Fenty Beauty나 Kylie Jenner의 Kylie Cosmetics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활동은 Z세대가 기존의 소비자 역할을 넘어서, 창의적인 방식으로 자립적인 생산자가 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Z세대는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만 활동하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그들이 만든 콘텐츠나 제품이 진정성을 갖추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소비와 생산의 경계가 허물어진 시대: ‘커스터마이징’과 ‘구독 경제’
Z세대는 더 이상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들은 소비와 생산을 넘나드는 ‘생산적 소비’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커스터마이징’과 ‘구독 경제’는 Z세대가 소비와 생산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는 중요한 예시입니다.
커스터마이징과 DIY 문화
Z세대는 자신만의 개성을 중요시하며, 이를 제품에 반영하기 위해 ‘커스터마이징’을 적극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Nike나 Adidas와 같은 브랜드는 소비자가 신발의 디자인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Z세대가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특성을 반영해 제작하는 ‘생산적 소비’를 의미합니다. Z세대는 자신의 취향을 제품에 담아내며, 때로는 직접 제작하는 DIY(Do It Yourself) 문화에 참여하기도 합니다.
구독 경제
Z세대는 ‘구독 경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소비와 생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Spotify, Netflix, Amazon Prime 등에서 제공하는 구독 서비스를 통해 Z세대는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하고, 동시에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Twitch와 같은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Z세대가 게임을 실시간으로 방송하며, 구독자들에게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Z세대는 구독 박스 서비스에서 자신만의 취향을 반영한 제품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소비와 생산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Z세대는 ‘소비자’ 역할을 넘어서, 자신이 선호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적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Z세대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창업 정신, 그리고 소비와 생산의 경계가 허물어진 시대적 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변화했습니다. 그들은 이제 콘텐츠를 창작하고, 창업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이루며, 소비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가치를 생산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Z세대는 단순히 소비하는 역할을 넘어서, 자신만의 개성을 반영한 생산자로서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더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입니다.